흐음, 입 개발 전문가 CharSyam 입니다. 나름 입 개발을 오래해보긴 하고, DNS 프로토콜도 직접 구현해보고, Dynamic DNS를 Zookeeper 기반으로 만들어보기도 해서 잘 안다고(이렇게 적고 실제로는 일도 모른다고 읽으시면 됩니다.) 생각했는데… 제 상식을 깨는 일이 발생했습니다.(다른 분들의 상식이 아니라 제 상식이니 무시하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은 코드가 존재합니다. 여기서 http://www.naver.com 은 몇번 호출이 될까요?
import requests requests.get('http://www.naver.com') requests.get('http://www.naver.com')
한번도 안한다. 한번만 한다. 두번 한다. 세번 한다. 네번 한다. 정답은 설정과 OS에 따라 다르다입니다.(퍽퍽퍽, 죽어!!!) 디폴트 설정이라는 가정하에서는 Windows와 Linux 에서의 설정이 또 다릅니다. 이게 무슨 소리냐 하면 Windows 는 OS 레벨에서의 DNS가 캐싱이 되므로 아마, 위의 코드는 한번도 안할 수도 있습니다.(이전에 했다면…), 처음 실행된다는 가정하에서는 그럼 한번만 되겠죠. 그런데 여기서는 이제 Linux 쪽, 특히 Debian 계열로 한정을 짓는다면, 위의 코드는 4번의 DNS 호출을 하게 됩니다.(왜 두번이 아니라… 그것은 http://www.naver.com 은 https://www.naver.com 으로 redirection 되기 때문에~~~), 그런데 엉? 4번이라고? 처음이라도 한번만 되어야 되는게 아니야?
먼저 tcpdump 를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tcpdump
그리고 udp 53번을 모니터링 합니다.
sudo tcpdump -i eth0 udp port 53
그리고 위의 코드를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01:32:31.303838 IP 192.168.0.2.60630 > acns.uplus.co.kr.domain: 30077+ A? www.naver.com. (31) 01:32:31.303846 IP 192.168.0.2.60630 > pcns.bora.net.domain: 30077+ A? www.naver.com. (31) 01:32:31.303856 IP 192.168.0.2.60630 > pcns.bora.net.domain: 45919+ AAAA? www.naver.com. (31) 01:32:31.306473 IP pcns.bora.net.domain > 192.168.0.2.60630: 30077 3/3/3 CNAME www.naver.com.nheos.com., A 210.89.160.88, A 210.89.164.90 (199) 01:32:31.306983 IP acns.uplus.co.kr.domain > 192.168.0.2.60630: 30077 3/3/3 CNAME www.naver.com.nheos.com., A 125.209.222.142, A 210.89.164.90 (199) 01:32:31.311150 IP pcns.bora.net.domain > 192.168.0.2.60630: 45919 1/1/0 CNAME www.naver.com.nheos.com. (116) 01:33:08.638991 IP 192.168.0.2.60630 > acns.uplus.co.kr.domain: 31222+ A? www.naver.com. (31) 01:33:08.638999 IP 192.168.0.2.60630 > pcns.bora.net.domain: 31222+ A? www.naver.com. (31) 01:33:08.639010 IP 192.168.0.2.60630 > pcns.bora.net.domain: 64566+ AAAA? www.naver.com. (31) 01:33:08.642771 IP pcns.bora.net.domain > 192.168.0.2.60630: 64566 1/1/0 CNAME www.naver.com.nheos.com. (116) 01:33:08.642781 IP pcns.bora.net.domain > 192.168.0.2.60630: 31222 3/3/3 CNAME www.naver.com.nheos.com., A 125.209.222.141, A 210.89.160.88 (199) 01:33:08.643297 IP acns.uplus.co.kr.domain > 192.168.0.2.60630: 31222 3/3/3 CNAME www.naver.com.nheos.com., A 125.209.222.141, A 210.89.160.88 (199) ......
우리는 OS 레벨의 DNS Caching을 기대하지만, 이 얘기는 기본적으로 OS 레벨에서의 DNS 캐시가 꺼져있다라는 얘기가 됩니다.(대부분의 linux에서 꺼져있다라는…) DNS Level Failover를 적용할려고 하다가, Python 에서는 DNS Caching 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보려고 하다보니…, 우연히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1020027/dns-caching-in-linux 를 찾게 되었는데…(역시 갓 SO, 참고로 JVM 에서는 DNS Caching 이 영구적이라, 특정 옵션을 주지 않으면, 처음 받게 된 ip를 계속 사용하게 되므로, 기본 옵션으로는 DNS Level Failover를 쓸 수 없습니다.)
여기서 “꺼져있다”, “꺼져있다”, “꺼져있다”를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위와 같이 실험을 했더니… 사실이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SO 글을 읽으시면… 잘 알게 되는데, glibc의 getaddrinfo 자체에서 발생하는 이슈라고 해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실행해 봤습니다.
#include <stdio.h> #include <sys/types.h> #include <sys/socket.h> #include <netdb.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include <unistd.h> int main(int argc, char *argv[]) { struct addrinfo hints; struct addrinfo *result; memset(&hints, 0, sizeof(struct addrinfo)); hints.ai_family = AF_UNSPEC; hints.ai_socktype = SOCK_STREAM; hints.ai_flags = 0; hints.ai_protocol = 0; for (int i = 0; i < atoi(argv[1]); i++) { int s = getaddrinfo("www.naver.com", NULL, &hints, &result); if (s != 0) { fprintf(stderr, "getaddrinfo: %s\n", gai_strerror(s)); exit(-1); } printf("%d\n", i); sleep(10); } return 0; }
실행해보면, 매번 쿼리가 날라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이 이야기는, DNS Caching을 app 수준에서 따로 제어하지 않는다면, DNS 쿼리를 매번 호출하게 된다라는 얘기가 됩니다. 보통 DNS 쿼리를 굉장히 자주 날리는 것은 성능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걸 잘 하는게 쉽지는 않을듯 하네요.
glibc 코드를 살짝 까보면, getaddrinfo 는 gaih_inet 이라는 함수를 호출해서 결과를 가져옵니다. gaih_inet 는 USE_NSCD가 켜져있으면 NSCD에서 캐시된 결과를 찾는 것으로 보이고, 그게 아니라면, 일단 hosts 파일에 있는지 체크합니다. 이래서 hosts에 등록하면 DNS 쿼리 없이 항상 제일 먼저 가져오게 됩니다. 그 뒤에 옵션이나 상황에 따라, gethostbyname2_r, gethostbyname3_r, gethostbyname4_r 을 콜하게 됩니다. 이 함수들은 실제로 resolv/nss_dns/dns-host.c 에 있는 _nss_dns_gethostbynameX_r 함수들과 매핑이 되고 여기서 DNS Query를 날리고 가져오게 됩니다.
즉, 이 얘기는 OS단에서 해주는게 없을 가능성이 높고, 지금 DNS 쿼리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을지 모른다는 얘기다 됩니다.(일단 저는 이렇게 이해했는데… 잘 아시는 분 답변좀 T.T),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는 nscd 를 설치해야만, OS 레벨의 캐싱이 적용이 되게 됩니다. 아니면, app 레벨에서 직접 해줘야…
일단 자바의 경우는 jvm 레벨에서 DNS 캐싱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DNS Based Failover를 하려면 좀 더 자세히 알아야 합니다. jdk 소스를 보면 InetAddress.java, InetAddressCachePolicy.java 이 있습니다. InetAddress.java 에서 InetAddressCachePolicy 클래스를 사용하는데, 여기의 기본 옵션이 FOREVER 입니다. 그리고 InetAddress 에서 getCachedAddresses 함수를 호출하면서, 매번 위의 Policy를 확인하고, 위의 값들을 조절하면 networkaddress.cache.ttl 는 내부적으로 사용할 TTL 의 값(가져와서 ttl 확인하고 expire 시키네요.) 두 definition networkaddress.cache.ttl 이나 sun.net.inetaddr.ttl 을 먼저 체크해서 하나라도 값이 있으면, 해당 값으로 설정이 되고 없으면 SecurityManager를 체크하는데 이때 SecurityManager도 없으면 기본 TTL이 30초로 설정되게 됩니다.